미국의 소고기 및 돼지고기 산업에 있어 옥수수는, 비록 전체 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아니지만 사료 구성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그 가격의 영향력은 아주 크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옥수수 수출국으로 미국의 옥수수 가격은 직접적으로는 전세계로 수출되는 옥수수 수출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간접적으로는 미국의 소고기 및 돼지고기 수출 가격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옥수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서도 축산사료, 에탄올 생산, 그리고 옥수수 수출 수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농무부(USDA)의 세계 농산물 공급 및 수요 보고서(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Report)에 따르면, 옥수수 기말재고는 약 6억7,500만부셸(bushel)로 3주치 공급량이 채 안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지난 해에서 이월된 재고분이 7주치 공급량에 육박하는 것과 비교해볼 때 극히 적은 양이다.
구체적인 수치를 살펴보면, 올해 미국의 에탄올 생산에의 옥수수 사용량은 약 50억부셸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미국의 옥수수 전체 생산량 약 120억4,470만부셸의 40퍼센트를 차지한다. 축산물 사료와 부산물에의 사용량이 약 51억5,000만부셸, 그리고 수출량이 19억5,000만 부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록에 따르면 올해 봄 미국의 옥수수 파종면적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두번째로 많은 약 9,100~9,200만에이커(acre)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의 약 8,820만에이커 대비 3.2~4.3퍼센트 증가한 수치로 지난 2007년에 기록된 최고치인9,350만에이커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또한 올해 옥수수 생산량은 세번째로 많은 양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반해 기말재고는 앞서 언급한 다양한 수요증가로 인해 1995/96년 이후 가장 적은 양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기말재고량이 4억2,600만부셸로 3주 반 정도치 공급량 정도에 그쳤던 1995/96년에는 그 이유가 그 해 옥수수 작황이 좋지 못했던 것이 주 요인이었다. 그에 반해 그 해가 주기상으로 소 사육기반 확장기로 소 사육두수가 최고치를 기록했었기 때문에 옥수수 가격은 상한가를 기록했고 반면 축산물 가격은 기록적으로 낮았었다. 이에 미국의 축산업계는 고통의 시간을 겪어야 했고 1995/96년 이후 다시 사육기반 붕괴기가 도래했고 그 때가 미국의 축산업에 있어 가장 힘든 시기였다.
올해는 다른 해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소고기와 돼지고기, 그리고 보유를 위한 소의 수요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이로써 향후 미국의 사육기반이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을 해볼 수 있겠다. 즉, 현재와 같이 시장이 불안정하고 모든 물가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그러한 수요 증가는 축산업자들에게는 그만큼 위험부담이 따르고 자본이 많이 요구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의 부족한 옥수수 공급량은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그만큼 옥수수 사용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도 미국 축산업계의 옥수수 수요는 견고하다. 이는 미국의 소와 돼지는 옥수수를 먹어야 하고 다른 가능한 대체제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동시에, 고유가로 에탄올 가격이 상승하고 따라서 에탄올 생산자들의 손익분기점도 동반 상승하게 되므로 그만큼 풍부해진 자금력으로 축산업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옥수수 구매력이 높을 수 밖에 없으며 미국의 축산업자들은 이러한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높은 옥수수 가격이 생산비 상승에 따른 축산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면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가 그만큼 감소하게 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데, 미국은 현재 실업률이 8.8퍼센트에 달하고 있고 국가 사회보장제도에 따라 푸드스탬프(Food Stamp, 무료 급식권과 유사한 지급카드)를 받는 인구가 기록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외식업계와 소매업계에서도 소비침체에 반한 축산물 가격 상승으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수출수요가 견고하게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미국의 축산업계에는 희망적인 영향이 아닐 수 없겠다.
전세계 걸쳐 특히 소고기의 공급량이 부족한 지금, 미국의 축산업계의 사육두수가 언제쯤 본격적인 확장기에 접어들까 하는 의문이 여기저기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높은 생우 가격은 사육업자들로 하여금 사육두수 증가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되지만 생우 가격이 상승한 만큼 사료 가격이 상승한 것은 그러한 동기를 억제하는 반대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미국의 소고기 산업은 광활한 목초지에 근거하는데, 즉 어미소는 생애 전기에 걸쳐 목초지에서 생활하며 송아지가 이유할 때까지 송아지와 함께 목초를 먹는다. 송아지가 이유를 하면 대부분이 비육장으로 옮겨져 성우가 될 때까지 대부분 옥수수로 이루어진 사료를 먹게 된다.
미국의 이러한 소 사육시스템에서, 옥수수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은 소가 비육장 밖에 머무는 시간이 그만큼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하지만 이또한 비육장 밖에 목초지 조건에 얼마나 호의적이냐에 따라 유동적이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일반적으로 소의 경우 사육 상황에 따라 옥수수 가격 상승에 대처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돼지에 비해서는 넓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돼지의 경우는 생산시스템이 소에 비해 사료 급여 시기와 선택의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그렇기 때문에 보다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11년 3월 현재 미국의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후 추가적으로 증가할 지의 여부는 향후 옥수수 가격의 상승분을 돼지 가격의 상승으로 상쇄할 수 있는 수요 환경이 되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겠다. 업계에 따르면 향후 단기적으로는 어느 정도 수익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올해 하반기부터 2012년까지는 여전히 시장상황이 불투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 1분기 미국의 소고기 및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3퍼센트와 2퍼센트 증가하였다. 생산량 증가와 동시에 수요도 동반 증가함에 따라 도매시장에서 초이스급 소고기 컷아웃(지육혼합)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8퍼센트 상승하였고 돼지고기는 22퍼센트 상승하였다. 한편, 소비자들의 수요 약세로 소매시장에서 소고기와 돼지고기 가격은 10퍼센트와 15퍼센트 각각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구매 가격이 높아지면 판매 가격도 그만큼 높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향후 소매 가격 상승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것이 소비를 더욱 위축시키는 순환 작용이 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올해 가을부터 시작되는 2011/12년도의 옥수수 생산량을 예상해보자면, 미국의 옥수수 파종면적은 9,220만에이커로 2010/2011년 대비 5퍼센트, 2009/2010년 대비 7퍼센트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만일 예상대로 된다면, 2007년에 이어 또다시 2차 세계대전 이후 두번째로 높은 수치로 기록되게 된다. 물론 여기에는 기간 중 특히 미국 중서부 지역의 저온 다습한 기후에 대한 예측이 모두 고려되긴 했으나 예상치 못한 기후변화가 생긴다면 실제 수확량은 기대보다 적어질 수 있다.
한편, 대두의 경우 2011/12년도 파종면적은 2010/11년도 대비 1퍼센트 감소한 7,660만에이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예상대로 된다면, 대두파종면적 역시 역대 세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게 된다. 대두의 경우 특히 남아메리카의 생산량이 워낙 많을 것으로 예상돼 옥수수처럼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중서부 지역의 사료업자들은 옥수수와 대두를 번갈아서 재배함에 따라 두 곡물의 가격 상관관계는 향후 재배 작물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시점에서 미국의 사료업자들은 대두에 비해 옥수수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다른 어떤 산업보다 축산업은 그만큼 높은 비용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언제나 예측 불가능한 불안정한 시장상황이 핵심요소로 작용한다. 더 나아가, 미국의 국가경영적자와 고물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에탄올 산업 지원을 둘러싼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미국 정부의 에탄올 정책, 기후, 수출 그리고 소 및 돼지 사육두수 등 이 모든 것이 미국 축산물 생산량과 생산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옥수수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이다.
에린 보러 데일리(Erin Borror Daley) / 미국육류수출협회 경제조사 담당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